알루미늄 일반 가정용품에서부터 자동차, 항공기에 이르기까지 폭 넓은 분야에서 산업재, 소비재로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지구에 존재하는 8대 주요 원소들 중 산소(O), 규소(Si)에 이어서 세 번째로 많은 원소로서, 알루미늄의 전체 매장량은 철광석의 1.6배 정도로 추정됩니다.
금속광물의 사용량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성능(내구성, 내식성, 내열성)과 비용(매장량, 정제비용)인데, 알루미늄은 대표적인 금속재료인 철과 비교했을 때 비용면에서는 크게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렵고, 무엇보다 무게가 가볍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구성, 내열성에서 크게 뒤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런 단점으로 인해 알루미늄은 주로 소비재(주전자, 냄비, 캔 등의 용기, 건축용 샤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에 다른 원소를 첨가하여 합금으로 사용했을 때 내구성과 내열성이 크게 개선되는데, 최근에는 기존에 합금강이나 특수강을 대체하는 경량화를 목적으로 내구성과 내열성을 개선한 알루미늄합금의 개발이 많이 진전되어, 자동차나 항공기와 같은 하이엔드 제품에 까지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습니다.
해외 일부 국가에서는 구리를 대체하여 전력용 케이블로도 알루미늄이 사용되어 왔는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알루미늄 도체 케이블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세계 알루미늄 소재업체 순위
알루미늄 제련업체들의 생산능력을 기준으로 세계 알루미늄 지금(地金-원소재) 세계시장의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1위 CHALCO 중국 알루미늄 9.6%
- 2위 China Hongqiao Group중국홍차오中国宏橋 8.9%
- 3위 UC Rusal 러시아 6.0%
- 4위 山東信発鋁電集団公司(신발집단) Shandong Xinfa Aluminum Electricity Group 5.5%
- 5위 Rio Tinto Alcan 리오틴토 5.0%
- 6위 Emirates Global Aluminum 에미리츠 글로벌 4.1
- 7위 China Power Investment Corporation中国電力投資 3.9%
- 8位 Alcoa 3.3%
- 9位 Norsk Hydro 3.1%
알루미늄 제령회사의 생산량 기준의 세계 점유율 1위는, 중국알루미늄입니다. 동사는 알루미나 정제에 있어서도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데, 중국 국내수요의 급중을 배경으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2위인 홍차오그룹도 이와 같은 배경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3위는 세계적 광산업체인 Glencore와 러시아업체인 Rusal이 합병하여 탄생한 UC RUSAL입니다. 동사는 시베리아의 값싼 수령발전소를 이용하여 제련사업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4위는 중국의 신발집단이며, 5위는 Rio Tino Alcan, 6위는 에미리츠 글로벌, 7위는 중국전력투자, 8위는 알코아의 순입니다. 8위의 알코아는 한때 중국업체들이 급성장하기 전까지 세계 최대의 알루미늄 회사였습니다만, 알루미늄 압연 이후의 공정을 알코닉Arconic으로 분사화하였습니다.
세계 알루미늄 제품매출 순위
알루미늄 제품(중간재 포함) 기준으로 세계시장의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1위 CHALCO 중국 알루미늄 18%
- 2위 Norsk Hydro 노르웨이 10%
- 3위 Hindalco Industries 인도 9%
- 4위 China Hongqiao Group중국홍차오中国宏橋 8%
- 5위 Alcoa 미국 7%
- 6위 Rio Tinto Alcan 리오틴토 7%
- 7위 UC Rusal 러시아 6%
- 8위 Arconic 미국 5%
- 9위 Constellium 네덜란드 4%
- 10위 UACJ 일본 4%
알루미늄 업체의 매출순위상 세계 1위는 알루미늄 소재 생산량과 더불어 중국알루미늄입니다. 2위는 노르웨이의 노르스크 하이드로입니다. 보크사이트에서 압연까지 일관생산이 강점입니다. 3위는 인도의 힌달코입니다. 인도 국내의 높은 점유율을 배경으로 미국의 Novelis와 Aleris을 합병하여 압연사업의 세계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4위는 중국의 홍차오그룹입니다. 5위는 미국의 알코아인데, 보크사이트에서부터 제련공정까지의 상공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압연공정이후의 후공정은 알코닉으로 분사화했으며 알코닉은 매출 기준 8위입니다. 9위는 네덜란드의 콘스텔리움, 10위는 일본의 후루카와 스카이와 스미토모 경금속이 경영통합해서 탄생한 UACJ입니다.
보크사이트 생산량 기준으로는 알코아와 리오틴토가 세계 1위를 다투고 있으며, 기니아 국영기업인 CBG, 중국알루미늄이 그 뒤를 잇는 강자입니다.
보크사이트 생산국으로서는 호주, 중국, 브라질, 기니아, 인도 등이 있습니다.
'지팡구 상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MC 구마모토 신공장으로 일본진출 (0) | 2022.02.07 |
---|---|
일본 반도체업체, 르네사스의 구조개혁과 변화 (0) | 2022.02.02 |
시즈오카현 아타미시 산사태의 원인에 대하여 (0) | 2021.07.06 |
일본 생명보험사, 코로나 감염보장보험 출시 (0) | 2021.04.06 |
일본 탑클래스 대학, 취업 상위기업 20 (0) | 2021.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