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팡구 상인들

일본 탑클래스 대학, 취업 상위기업 20

코로나가 창궐하기 이전인 재작년에만 해도, 일본은 구직자들의 천국이었습니다. 구직자 대비 구인자의 수가 더 많아서, 직장을 골라서 갈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명문대 졸업생들은 성적이 좋든, 나쁘든 몇 개의 일류기업의 내정을 받아놓고 어디로 갈까를 정해야 하는 행복한 고민에 빠져 있었습니다.

1년에 지난 코로나 이후 현재, 뉴노멀 시대에는 언택트, IoT, 5G 등의 확산에 더불어 이전의 직장의 개념이 사라져가는 흐름에 맞쳐, 일자리의 수도 대폭 줄어들지 않을까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일본유학을 고려하고, 또 이미 일본 유학자가 많은 한국사람들의 입장에서 일본대학의 졸업자들이 어느 기업을 취업이 유망한지 많이 궁금하실겁니다.

이에, 2020년도에 일본 문과, 이과의 최고 명문대학의 졸업생들이 어느 기업으로 취직했는지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상경계 탑티어, 히토츠바시대학

히토츠바시 대학의 상경대학은 대입시험기준으로 도쿄대학과 거의 같은 수준에 있는, 문과계열 최고 명문입니다. 경영학과가 문과계열에서 최고 인기 학과이듯, 일본에서도 상경대학이 제일 인기가 있고, 경쟁률도 높습니다. 따라서, 상경대학에 경쟁력이 있는 히토츠바시대학은 전통적으로 도쿄대학, 게이오대학, 와세다대학과 더불어 최고 명문으로 취급합니다.

2019년의 히토츠바시 대학은, 1위가 미츠이스미토모은행(3위 은행), 2위 도쿄해상일동화화재보험(2위 보험회사), 3위 미츠비시UFJ은행(2위은행), 공동5위 일본생명(1위 보험회사), 금융권이 압도적으로 상위에 랭크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면, 코로나가 직격한 2020은 어땠을까요. 우선, 1위는 라쿠텐(1위 전자상거래)인데, 전년도 공동5위에서 대폭 약진했습니다. 참고로, 미키타니 라구텐회장은 히토츠바시 출신입니다. 2위는 미츠비시UFJ은행, 3위는 미츠이스미토모은행으로, 여전히 금융이 강세입니다.

또한, 컨설팅회사의 인기가 급상승하여, 4위에 ABEAM, 10위에 노무라연구소, 14위에 액센추어, 18위에 딜로이트로, 상위권에 다수의 컨설팅회사가 올라있습니다.

그외, IT, 금융, 컨설팅, 통신, 제조업, 종합상사, 건설회사 등 여러가지 업종이 고루 포진하고 있습니다. 물론, 랭크된 기업들은 업계의 1,2위의 대기업들입니다.

출처 : 다이아몬드, 히토츠바시 취업기업 20선

 

 

이공계 원탑, 동경공업대학

동경공대는, 이공계 학과만 있는 국립대학으로서, 한국으로 치가면 카이스트의 포지션에 있는 일류대학입니다. 언제나 세계대학순위의 상위권에 도쿄대학과 함께 항상 들어가는 월드클래스? 학교이지요.

따라서, 카이스트와 비슷하게 상당히 많은 졸업생들이 대학원으로 진학하여, 석박사 졸업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동경공대의 경우, 2019년의 1위는 히타치제작소(1위 중전), 2위 혼다기연공업(3위 자동차기업), 3위 미츠비시중공업로서, 대부분 기계분야 대기업이 상위에 올라 있습니다.

그런데, 2020년의 1위는 소니(2위 전기전자)입니다. 2019년의 7위에서 단숨에 탑으로 올라었습니다. 참고로 소니는, 2020년 도쿄대 2위, 교토대 10위(2019년엔 순위권 밖)로서 일본 대학생들에게 최고 인기 기업으로 나타났습니다. 2위는 캐논(3위 전기전자), 3위 파나소닉(1위 전기전자)로서, 전기전자계열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전년도 3위였던 미츠비시중공업은 18위로, 전년도 5위였던 야후재팬은 순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앞서 말씀드린대로, 동경공대의 석박사 진학률이 높은데, 취업순위 13위에 동경공대가 랭크됨으로써 전문연구인력으로 머무르는 비율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특징적인 점은, 자동차 업체가 많다는 점인데, 5위에 토요타, 10위에 닛산자동차, 11위에 혼다기연공업(혼다자동차의 본사)에 나란히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역시 일본은 자동차 강국이며, 일본의 이공계 우수인력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네요.

출처 : 다이아몬드, 동경공업대학 취업기업 20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