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정부는 미국 화이자사와 코로나 백신 5천만명분 공급에 대해 선구매 계약을 맺고 있습니다.
한국정부는 (염가의) 아스트라제네카 (효과성70%)를 필두로, 모더나, 화이자의 백신을 약 4천만명분 확보하고 있다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일본정부는 보다 발빠르게 움직인 결과로, 현재까지 가장 유력한 백신으로 거론되는 화이자의 백신만 벌써 상당수 확보한 상황입니다. 한국정부가 얘기하는 계약의 내용이 기본합의(MOU)라는 것이 문제인데요, 기본합의라는 것은 엄격한 의미에서는 법적 구속력이 약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합의라고 하고 계약이라고 하지 않죠...)
물론 제아무리 화이자나 모더나 같은 글로벌 제약사들의 영향력이 막강하다 하더라도, 각국 정부를 상대로 말바꾸기나 가격인상과 같은 사기를 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납기와 수량인 것입니다.
각국 정부들이 코로나 백신을 급하게 구하려고 하는 것은 각국경제상황을 최대한 빨리 정상화시키고자 함입니다. 그래서 백신의 공급시기와 수량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죠. 그러나 백신의 공급능력(생산능력 +수송능력 + 저장능력)은 제한적이라, 실제 백신이 공급되고 접종이 시작되는 것은 순차적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공급자들에게 있어서의 각국의 우선순위가 됩니다. 중요한 고객을 먼저 챙길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텍이 개발 중인 코로나 백신이 연내 시판되더라도 내년까지 공급 가능한 13억5000만회분의 90%인 12억회분 이상을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에서 선구매해놓은 상황이라 한국내 도입이 쉽지 않습니다. 한국정부는 화이자는 물론 어떤 제약사와도 코로나 백신 선구매 계약을 맺지 않은 상태입니다.
주요국들의 화이자 백신 선구매 물량은 미국 6억회분(5억회분은 추가 구입 선택권), EU 3억회분(1억회분은 추가 구입 선택권), 일본 1억2000만회분, 멕시코 3440만회분, 영국 3000만회분 등 입니다. (화이자 백신은 1인당 2회분 접종하는 방식입니다) 캐나다, 호주, 칠레, 뉴질랜드 등도 선구매를 했다. 중국, 러시아 등 코로나 백신을 자체 개발하는 나라를 제외하면 주요국은 대부분 선구매를 해놓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조선일보 일부 발췌 -
화이자는 일본에서 임상시험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으며, 사용승인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후생노동성은 신청을 받으면, 신속히 심사/승인하여 긴급수입할 계획이며, 보존과 수송에 대한 준비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한편, 일본정부는 화이자 포함 3개사와 도합 1억4500만명분이상을 구입하는 것으로 계약 및 합의하고 있습니다.
만약, 화이자의 백신사용이 승인되어, 수입/ 사용될 경우,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영하 70도로 보관 및 수송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후생노동성은 초저온냉동고 약3천대를 확보하고자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며, 백신 유통상황을 각 지자체와 공유하는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내년도 10월에는 접종실시주체가 될 지자체에게 필요 인원계획을 수립에 대한 통지를 하달한 바 있습니다.
접종비용의 무료화하는 개정예방접종법은 지난달 참의원 의회에서 가결되어 최종 성립되었습니다. 개정법에서는 접종을 국민의 노력의무로 지정하고, 제약회사가 부담할 부작용등의 피해보상을 정부가 부담하는 계약을 정부/기업간 체결할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접종으로 인한 피해보상액은 현행제도하에서의 최고수준으로 책정될 예정입니다.
의료종사자, 고령자가 우선 접종대상이며, 부작용의 빈도파악을 위해 의료종사자 1만명을 대상으로 일정기간동안 경과보고를 수집할 계획입니다.